표 14 6개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에서 편의점의 증가가 지역의 소매업 고용에 미친 효과
| 전체 고용 | 남 | 여 | 상용 | 상용 남 | 상용 여 | 일용 | 일용 남 | 일용 여 |
ATE | 0.168*** | 0.176*** | 0.163*** | 0.207** | 0.222** | 0.2* | 0.223*** | 0.216** | 0.216** |
(Std.Err) | (0.046) | (0.05) | (0.048) | (0.094) | (0.099) | (0.105) | (0.074) | (0.091) | (0.084) |
N | 88 | 88 | 88 | 88 | 88 | 88 | 88 | 88 | 88 |
R2 | 0.984 | 0.979 | 0.985 | 0.967 | 0.956 | 0.965 | 0.975 | 0.977 | 0.962 |
종속변수는 ln(점포당 고용자수)임.
분석모형에 ln(인구수), ln(편의점 평균거리), 연도별 고정효과 및 시군구별 고정효과가 적용되었으나 결과표에서는 생략하였음.
괄호 안의 수치는 White heteroscedasticity-robust 표준오차임.
p < 0.01,
p < 0.05,
p <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