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측정 항목 β 표준 오차 t CR AVE
산출 품질
 나는 서비스 로봇의 수행 결과가 우수하다고 평가한다. .847 .282 1.000* .826 .614
 서비스 로봇의 결과에 대한 품질에는 문제가 없다. .732 .464 15.683
 서비스 로봇으로부터 얻는 결과의 질은 높다. .768 .410 16.346
직무 연관성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는 것은 나의 다양한 소비 활동에 중요하다. .923 .148 1.000* .916 .784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것은 나의 다양한 소비 활동과 관련이 있다. .871 .241 27.006
 서비스 로봇은 나의 소비 활동에 중요하다. .861 .258 26.381
역할 명확성
 서비스 로봇을 이용할 때 고객으로서 나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831 .309 1.000* .863 .613
 서비스 로봇을 이용할 때 나의 책임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708 .498 16.287
 서비스 로봇을 이용할 때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분명하다. .817 .332 19.687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기 위해 고객으로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769 .408 18.144
이용 능력
 나는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는 데 자신 있다. .846 .284 1.000* .878 .705
 나는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는 능력이 있다. .842 .291 21.194
 나는 서비스 로봇을 완벽하게 이용할 수 있다. .831 .309 20.817
지각된 유용성
 나는 서비스 로봇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739 .453 1.000* .831 .553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면 나의 쇼핑 성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783 .386 15.911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면 쇼핑 효율성이 향상된다. .816 .334 16.545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면 더 빠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622 .613 12.572
지각된 용이성
 서비스 로봇은 내가 원하는 것을 쉽게 알아낸다. .678 .609 1.000* .801 .505
 서비스 로봇과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많은 정신적인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 .584 .732 9.503
 서비스 로봇은 이용하기 쉽다. .774 .474 12.450
 나는 서비스 로봇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787 .441 12.712
실제 이용
 나는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다. .845 .285 1.000* .867 .686
 나는 서비스 로봇을 실제로 이용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이다. .850 .277 22.242
 나는 서비스 로봇을 계속 이용할 것이며, 필요할 때마다 이용할 것이다. .788 .379 19.788
재방문 의도
 나는 로봇을 사용한 해당 점포에 다시 방문할 계획이 있다. .809 .345 1.000* .818 .601
 나는 로봇을 사용한 해당 점포를 지속해서 이용할 의사가 있다. .825 .319 18.174
 나는 같은 제품 구매 시, 로봇을 사용한 해당 점포에 이용할 것이다. .684 .532 14.751
개인 혁신성
 나는 신기술에 대해 거부감이 없다. .766 .413 1.000* .905 .705
 나는 신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불안하지 않다. .868 .246 19.512
 나는 신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849 .279 19.039
 나는 신기술을 이용할 때 두렵지 않다. .872 .239 19.630
χ2=928.088, df=398, p=.000, CMON/df=2.332, GFI=.868, CFI=.938, NFL=.898, IFI=.939, RMSEA=.054
측정 모형에서 측정 변인의 모수 추정치를 1로 고정한 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