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챗봇서비스의 인지된 개인화 | PPS1 | AI챗봇이 제공하는 정보는 나에게 맞춤화되어 있다. | Lavado-Nalvaiz et al.(2022) |
PPS2 | AI챗봇이 제공하는 정보는 나의 사용행태에 개인화되어 있다. |
PPS3 | AI챗봇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예측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 |
PPS4 | AI챗봇은 나의 니즈가 무엇인지 잘 파악하는 것 같다. |
인지된 공감 | PEM1 | AI챗봇은 나의 입장과 상황을 잘 이해하는 것 같다. | Seitz(2024) |
PEM2 | AI챗봇은 나에게 공감을 표현한다. |
PEM3 | AI챗봇은 나를 도와주려는 의도를 보인다. |
고객시민행동 | CCB1 | 나는 주변사람들에게 AI챗봇의 긍정적인 면을 이야기한다. | Kim and Jang (2022) |
CCB2 | 주변사람들이 AI챗봇을 잘 사용하게 도움을 줄 의향이 있다. |
CCB3 | AI챗봇이 실수를 하더라도 기꺼이 참을 의향이 있다. |
CCB4 | AI챗봇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의견을 제공할 의향이 있다. |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 PVS1 | AI챗봇이 수집한 내 정보는 예측하지 못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 Cheng and Jing (2020) |
PVS2 | AI챗봇에게 제공된 정보는 오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
PVS3 | AI챗봇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정보와 관련된 큰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