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권력거리신념이 PB제품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린1, 윤호정2, 최우진3,*
The Influence of Consumers’ Power Distance Belief on Thei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sions of Private Label Brand Products
Yong Lin Kim1, Ho Jung Yoon2, Woo Jin Choi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
1Master student,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2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Sejong University
3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 Copyright 2019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30, 2018; Revised: Mar 24, 2019; Accepted: Mar 27, 2019
Published Online: Apr 30, 2019
초록
대형 유통업체를 선두로 한 자체브랜드(private brand)는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 다. 그러나 국가별 자체브랜드의 시장점유율에는 커다란 편차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부 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Hofstede의 다섯가지 문화요인 중 권력거리신념(power distance belief)과 제품 카테고리 가 소비자의 PB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PB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는 소비자의 권력거리신념과 제품 카테고리(실용재 vs. 쾌락재)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재의 경우 권력거리신념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PB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부정적 이었고 PB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또한 더 낮았다. 그러나 쾌락재의 경우에는 권력거리신념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 았다.
둘째, 소비자의 인지된 가격-품질 추론은 권력거리신념 및 제품 카테고리의 상호작용과 소비자의 PB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따라서 유통업체가 해외시장에서 자체브랜드 상품을 출시할 경우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전략을 수입하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즉, 권력거리신념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장에서 자체브랜드 상품을 출시할 경우, 실용재보다는 쾌락재 를 통해 접근하거나 품질을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자체브랜드; 권력거리신념; 실용재; 쾌락재; 가격-품질 추론